책리뷰

[책리뷰] 임신출산 미리보기

행복하자, 우리 2025. 2. 27. 16:12
 
임신 출산 미리보기
수많은 정보 속 어떤 정보가 진짜인지 혼란스럽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과장되고 특이한 모습에 관심이 더 가고 임신 출산이 두려워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하지만 임신 출산은 어렵고 두렵기만 한 일이 아니다. 산부인과 전문의이자 아빠인 저자는 임신부의 임신 중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미리 알고 이해하는 것이 이러한 두려움을 줄여 준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임신 주수별 꼭 알아야 하는 필수 지식, 즉 언제 병원에 가야 하는지, 꼭 조심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저자
이재일
출판
유노라이프
출판일
2024.05.30

 

♪ 이 책은

의사 유투버 '산소형제TV'를 보면서 우연히 알게 된 책.

초산인 나에게 전반적인 임신과 출산에 관한 내용을 훑기에 아주 좋은 책이었다.

유투브에서도 주제별로 좋은 내용이 많지만, 역시 책은 모든 주제를 망라했기에 전체적으로 알기에 괜찮았던 책!

무엇보다 저자가 산부인과 의사여서 더욱 믿음이 갔다.

 

 책에서 배우다

1) 임신 및 출산 이후에 계속 필요한 영양소는 비타민D, 철분, 칼슘이다.
2) 짠 음식은 임신성 고혈압을 만들고, 임신성 고혈압은 자간전증(임신중독증)을 일으킬 수 있다.

3) 임신당뇨, 임신중독증 등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식단조절과 운동은 필수!

 

♪ 알아야 할 내용
p.43 임신 20주 이후 하루 30mg의 철 보충이 필요.
p.44 임신 28주경에 시행하는 '임신성 당뇨 검사'때 헤모글로빈 수치를 확인. 11g/dL보다 낮으면 빈혈, 빈혈 진단되면         
        60~100mg까지 늘리거나 철분 주사로 보충해야할 수 있음
p.45 하루 250~300㎍의 아이오딘 섭취를 권고하고, 하루 2000㎍ 정도를 상한선으로 두고 있음

        임신 20주부터 분만 후 3개월 까지 철분제, 임신 전 기간에 걸쳐 비타민D 섭취
p.50 임신 27~36주 사이에 임산부 백일예 예방주사 맞으면 항체를 태야에게 전달할 수 있음. 양육에 참여할 어른들도 아기

        만나기 2주 전에 백일해 접종하는게 좋음

p.51~2 출산 후 자궁 경부암의 중요한 원인 인유두종바이러스(HPV) 및 A형 간염 접종하기.(HPV 백신 완료해도 자궁 경부

           암 검사와 HPV 검사는 1~2년 간격으로 받는게 좋음)

p.65 임신 후 수분 섭취가 부족해 저혈압이 생길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분 섭취(기립성 저혈압 예방)

p.138 성인은 생선 한번 먹을 때 113g 섭취 권장, '최고의 선택'에 속해 있는 생선은 일주일 2~3번, '좋은 선택'에 있는

          생선은 일주일 1번


- 최고의 선택: 대서양 조기, 청어, 조개, 굴, 관자, 대서양 고등어, 숭어, 랍스터, 새우, 가재, 검은바다농업, 참고등어, 멸치,    병어, 농어, 정어리, 참치(가다랑어), 오징어, 대구, 가자미, 홍어, 틸라피아, 연어, 메기

- 좋은 선택: 잉어, 우럭, 메로, 은대구, 참치(날개다랑어, 황다랑어), 아귀, 줄돔, 옥돔, 민어, 참바리, 도미, 버팔로피쉬, 넙치,

  스페인 고덩어, 파란노어, 만새기, 줄농어

- 피해야할 선택: 삼치, 옥돔, 오렌지 러피, 참치(눈다랑어), 상어, 청해치, 황새치


p. 188

임신성 고혈압 진단 기준: 임신 전 혈압이 정상, 임신 20주 이후 혈압이 140/90mmHg 이상인 경우

자간전증 진단 기준: 임신성 고혈압+단백뇨 똔는 혈소판 감소 또는 신장 기능 감소 또는 간 기능 감소(간 수치 두 배 이상 상승) 또는 신경학적 증상(두통, 시야장애, 경련) 또는 폐부종

p. 189 임신성 고혈압→ 자간전증 →중증 자간전증 →자간증 순서로 진행

p. 195 탈수가 되지 않도록 하루 1.2L 정도의 물을 마시는 정도면 충분하고, 과도한 수분 섭취는 바람직하지 않음

p. 199 만삭에 가까운 시기의 태아는 20분 정도 조용히 있다가 49분은 활발하게 움직이는 주기 보임, 한시간 간격으로 자다 깨기를 반복함. 한시간 넘게 충분히 쉬었는데도 태동이 없다면 병원에 가서 초음파 및 태동검사 해보기.

p. 203 같은 자세로 오래 앉아 있으면 혈전증의 위험 올라가는데, 압박 스타킹을 신으면 혈전증 예방 및 부종도 덜 생김

p. 206 안전벨트 빌수! 교통사고록 배가 부딪치면 태반조기박리의 위험이 있음

* 태반조기박리: 태아가 분만되기도 전에 태반이 자궁에서 먼저 분리되는 것

p. 213 규칙적인 자궁 수축이 시간이 지나도 좋아지지 않는다면 조기 진통임. 한시간에 한번이나 하루에 한 번 정도가

          아니라, 한 시간에 8회 이상 반복적 수축해야 규칙적. 규칙적 수축 있어도 어느 정도 시간 지나 간격 길어지거나

          사라지면 병원 안가도됨, 하지만 5~10분 간격의 규칙적 수축이면 병원에 꼭 가야 함.

p. 235 임신 초기 1~2주 간격, 12주~28주 4주에 한 번, 28주~36주 2주에 한 번, 36주 이후 매주 방문

           20~22주 정밀 초음파, 24~28주 임신성 당뇨검사 및 입체초음파

p. 239 쌍둥이는 36주 전후에 가장 많이 태어남, 적어도 35주에 출산가방 준비하자!

p. 261 만삭 때는 규칙적인 수축 생기더라도 진짜 수축이 아닐 수 있다. 초산 일 때는 수축이 10분에 2~3회 이상이고

           수축이 올 때마다 통증이 점점 더 심해지면 병원으로 출발해도 된다. 

 

♪ 꼭 기억할 문구

p. 286 아이를 낳고 모든 것이 끝나는 건 아닙니다. 산후 우울감은 출산 여성의 절반에서, 많게는 75퍼센트까지 발생합니다. 보통 2주 이내로 대부분 좋아지지만, 우울감이 심해진다면 '산후 우울증'으로 감별해야 하며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출산 후 몸과 마음의 변화에 힘들어하는 산모에게 관심과 지지를 보내주는 자세가 필요합니다.